티스토리 뷰

노인일자리사업 10%까지 확대 

보건복지부는 1,000만 초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2027년까지 노인 일자리 규모를 노령 인구 10% 수준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. 또한 수요에 맞춰 안정적으로 공익형 일자리를 제공하고, 민간 및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노인일자리의 40%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.
 

 

노후 소득 발굴

저소득층의 노후 소득보장과 아동, 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익활동형 일자리는 특히 노노 케어와 어르신 식사, 청소, 가사지원 등 지역사회에서 수요가 많은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노인의 돌봄 사각지대를 메워나가기로 하였습니다. 초등 늘봄학교 돌봄지원 사업과 경로당 등 취약시설의 안전 점검같은 사회서비스 영역을 일자리를 발굴하기로 하고, 민간 부문의 취업과 창업 지원도 강화해서 노년시대의 새로운 맞춤형 일자리를 다양화 하기로 하였습니다. 
  

노후대비 노인일자리 정책

복지부는 초고령 시대의 저소득 노령층 뿐 아니라 노후 대비가 부족한 젊은 노년층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노인일자리 정책은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고 노후 일자리를 통해 소득을 보장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창출하는 좋은 일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지속가능한 노인 일자리 정책이 되기 위해서 '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' 등 법적 기반 위에 노인의 지식과 경험이 사회에 활용될 수 있게 유도하고, 전달체계를 개선하며, 다각적 홍보와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.